재무보고 개념체계

https://www.flaticon.com/kr/authors/freepik

 방향성 큰틀 기준 (변하기도 함)

 대표적 재무재표

자산
(자금의 사용용도)
부채 재무
상태
(자산, 자본 ,부채)
재무구조
(자본, 부채)
자본
수익 비용 경영성과요소  

 기본 가정(계속기업)

 예상가능한기간 동안 영업을 계속할 것이라는 가정

 

 재무정보의 질적특성

https://www.flaticon.com/authors/freepik

  1)근본적 질적 특성

  유용한 정보
근본적
질적특성
목적적합성
(정보이용자의 결정에 필요한 정보)
충실한 표현
(신뢰성, 믿을(유용)만 한 정보인가)
(1) 예측가치
(2) 확인가치
(3) 중요성
(1) 완전성
(2) 중립성
(3) 무오류성
보강적
질적특성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적시성 이해가능성
제약요인 원가 제약

 

 재무재표의 요소

 자산 : 기업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원

 부채 : 자원의 유출이 예상되는 빚 또는 의무

 자본 :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분

 수익 :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자원의 총액

 비용 :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을 통해 지출한 자원의 총액

 

재무재표 요소의 인식과 측정

https://www.flaticon.com/kr/authors/freepik

측정은 인식되고 평가 되어햐 할 재무재표 요소의 화폐금액을 결정하는 과정

 

역사적 원가 : 취득당시에 공정가치

현행원가 : 자산 취득 시 지불해야 할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금액

              부채는 할인하지 아니한 금액으로 평가

실현가능가치 : 자산 처분 시 지불해야 할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의 금액 

                    부채 할인하지 아니한 금액으로 평가

현재가치 : 자산은 미래순현금유입액과 현재할인가치로 평가

              부채는 미래 순현금유출액의 현재할인가치로 평가

 

재무재표 작성시 가장 보편적으로 채택하는 측정 기준은 역사적 원가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측정기능과 함꼐 사용

 

발생주의와 현금주의

 

현금 

기간손익 계산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있을 때 수입과 지출을 기록

 

발생주의

재무상태 변화를 가져오는 거래를 수익과 비용으로 인식

수익비용대응의 원칙 

반응형

조직과 경영

https://www.flaticon.com/kr/authors/gowi

 조직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계획을 세우고 실행을 하며 그 결과를 평가한다.

이러한 활동을 경영이라고 한다.

 

경영(관리, management)

 조직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제반 활동, 과정 또는 수단

 

1. 하나의 과정이다. 계획 수립, 결정과 실행, 평가와 같은 일련의 활동들이 계속된다.

2. 인적자원, 물적자원, 정보 등 여러 자원을 모으고 이를 활용하는 활동이다.

3. 목표지향적 활동이다. 모든 활동은 목적적합한 것이며 방향성이 있다.

4. 하나의 조직 내에서 수행되는 활동이다. 

 

 조직의 리더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을 경영한다. 조직체는 목표달성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해야할까?

 

효율성과 유효성

https://www.flaticon.com/kr/authors/iconbaandar

 

 경영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제반 활동이라면 효율성과 유효성 개념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효율성은 최소한의 투입으로 최대한의 산출을 얻는 것에 관한 것이고, 유효성은 올바른 목표의 선택과 달성 여부에 관한 것이다. 성공적인 조직이라면 효율성이 높고 유효성도 높다.                                                    input - output

 

  효율성 유효성
평가대상 자원의 사용 정도 목표의 달성 정도
의미 일을 올바르게 함 옳은 일을 함
지향하는 것 최소한의 자원 투입으로
최대한의 산출 
목표의 최대한 달성
조직의
목표달성과의 관계
목표달성을 위한 수단
(효율성이 높으면
목표달성이 쉽다.)
목표를 달성하는 것
(유효성이 높아야 
목표달성이 된다.)

 환경경영이 강조되면서 일방향이 아닌 순환구조상에서 효율성과 유효성을 환경효율성과 환경유효성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다.                                                                                                          input - output - 회수/처리

 

기업과 경영

https://www.flaticon.com/kr/authors/wanicon

 전통적

으로 경영의 주 대상은 기업이었다. 기업과 경영은 어떤 관계일까?

기업이 목적을 설명하면 경영은 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기업은 소유단위이지만 경영은 작업단위이다.

기업은 수익성 또는 이윤을 추구하지만 경영은 생산성 또는 경제성을 추구한다.

 

경제성 

 투입에 중점을 둔 것으로 동일한 산출을 위한 최소의 비용연가의 문제에 초점을 둠

 

생산성 

 효율성에 질(quality)의 개념을 추가한 것

 

 

 

반응형

+ Recent posts